2025 연금저축 세액공제 한도 총정리
연금저축은 2025년에도 연 600만 원까지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여기에 IRP 300만 원을 더하면 합산 최대 900만 원이 공제 대상이 됩니다. 총급여 5,500만 원 이하 16.5%, 그 외 13.2%의 공제율을 적용해 환급 규모를 가늠하세요. 아래에서 근로자/프리랜서 공통으로 바로 쓸 수 있는 간단 공식과 주의점을 사람 말로 풀었습니다.
1) 한도·공제율 한눈표
- 연금저축 납입 한도: 연 600만 원
- IRP 추가 한도: 연 300만 원
- 합산 최대 공제대상: 900만 원
- 공제율: 총급여 5,500만 원 이하 16.5%, 그 외 13.2%
핵심은 “연금저축 600 + IRP 300”을 구조적으로 채우는가입니다. 꽉 채우면 최대 환급이 깔끔하게 계산됩니다.
2) 환급액 빠른 계산법 (감 잡기용)
환급 예상액 ≈ (연금저축+IRP 납입액) × 공제율
예) 총급여 5,500만 이하 & 900만 납입 → 약 148.5만 원 (=900만×16.5%)
예) 총급여 5,500만 초과 & 900만 납입 → 약 118.8만 원 (=900만×13.2%)
3) IRP와의 역할 분담 — 언제 300만을 채울까?
연금저축으로 600만을 채운 뒤, 추가 절세 여지가 있으면 IRP 300만을 더하는 방식이 가장 단순합니다. 연금저축은 장기 분할납입이 편하고, IRP는 퇴직연금 전용계좌라 중도인출 제한 등 규칙이 더 엄격하죠. 유동성을 중시하면 연금저축 비중을, 최대 절세를 노리면 IRP 합산을 고려하세요.
4) 2025 달라진 점 & 놓치기 쉬운 함정
- 해지·중도인출 시 그동안 받은 세액공제를 추징당할 수 있습니다. 단기 자금은 넣지 마세요.
- 세액공제 한도는 납입액 기준이므로, 펀드 수익률과는 별개입니다.
- 연말 몰아넣기보다 분할납입이 심리·리스크 관리에 유리합니다.
5) 사람별 추천 시나리오 (짧게)
- 총급여 5,500만 이하: 연금저축 600만 + (가능하면) IRP 300만 → 16.5% 절세율 극대화
- 총급여 5,500만 초과: 현금흐름 보며 600만 우선, 여유에 따라 IRP 300만 추가
- 유동성 중요: 연금저축 위주, IRP는 일부만
더 보기: 아래 글들과 함께 체크하면 선택·납입·환급까지 한 번에 정리됩니다.
▷ 연금저축 세액공제 한도 총정리 (2025) ·
연금저축 세액공제 한도 총정리 ·
IRP vs 연금저축 2025: 뭐가 더 유리? ·
퇴직연금 수익률 비교와 IRP 전략 ·
퇴직연금 수익률과 IRP 전략, 무엇이 달라졌나? ·
2025년 고금리 예금 추천 TOP 10 ·
직장인 이직 타이밍 진단법
© info-exclusive™ • 본 글은 일반 정보이며, 실제 환급액은 연말정산 기준·개인 소득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