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경 없는 세무 시대, 어디에 있어야 가장 유리한가 물리적 주소가 아닌 세무 거주지가 부를 결정하는 시대다. 세법은 여전히 국경을 기준으로 하지만, 자산은 이미 국경 밖에서 움직인다. 거주지·법인·소득원이 서로 다른 국가에 존재할 때, ‘어디에 있어야 가장 유리한가’는 세무전략의 핵심 질문이 된다. 1. 글로벌 세무 네트워크의 작동 원리 OECD가 주도하는 CRS(공통보고기준)는 모든 금융계좌 정보를 실시간 교환한다. 즉, 어느 나라에서든 자산이 감춰질 수 없다는 뜻이다. 하지만 여전히 국가 간 세율 차이, 거주 기준, 신고 시점의 차이는 전략이 된다. 2. 거주지보다 중요한 ‘세무 정체성’ 현대 자산가의 세무 정체성은 ‘어디서 돈을 벌었는가’가 아니라 ‘어디서 세금을 인정받을 것인가’에 있다. 이중거주, 세무협약, 자동정보교환의 틈을 정확히 이해하면 리스크를 피하면서 합법적으로 절세할 수 있다. 3. 국가별 유리한 세무 거점 싱가포르: 해외소득 비과세, 법인 설립 용이 아랍에미리트(UAE): 개인소득세 0%, 국제 조세 허브 포르투갈: NHR 제도(10년간 해외소득 감면) 한국: 거주일수·생활근거 판단 강화로 리스크 확대 4. 법인·거주지 이중 구조 설계 글로벌 자산가는 하나의 법인이 아닌 ‘분산형 세무 신체’를 가진다. 법인은 수익 발생국, 거주지는 세율 우위국, 자산은 신탁 구조에 둔다. 이 세 가지를 조정하는 순간, 세부담은 절반 이하로 줄어든다. 결론: 세무의 중심은 이제 ‘이동성’이다 국경이 사라진 시대에 중요한 것은 ‘어디 사느냐’가 아니라 ‘어디에 보고하느냐’다. 이제 세무 전략은 단순한 절세가 아니라, 글로벌 자산의 생존 구조다. info-exclusive™ 수석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