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작물 손해평가사 실무 과정 소개
농작물 손해평가사는 자연재해·병충해 등으로 발생한 피해를 객관적으로 조사해 보상 산정의 근거를 제공하는 현장 중심 전문직입니다. 아래 단계별 흐름을 참고하시어 실제 업무의 구조를 한눈에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① 사전 준비: 의뢰 내용 확인 · 자료 점검
의뢰 범위 확인: 작물 종류, 재해 유형(우박·냉해·폭우 등), 발생 시점, 대상 필지 등 기본 정보를 정리합니다.
기초 자료 확보: 기상 자료, 재배 이력, 보험 가입 내역, 과거 피해 이력 등을 확보해 현장에서 확인할 체크리스트를 만듭니다.
② 현장 조사: 피해 규모 파악 · 증빙 수집
실제 포장(圃場)에 방문하여 피해 정도를 확인하고, 표본 조사 기준에 맞춰 정량·정성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작물 생육 단계, 피해 편차, 면적 대비 피해율, 회복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기록합니다.
- 피해 구역 도면화(간단한 스케치·좌표 기록)
- 현장 사진·영상 촬영(각도·거리·참조물 포함)
- 인근 농가·관계자 진술 청취(가능 시)
초심자를 위한 상담과 절차는 손해평가사 무료상담 안내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③ 피해 평가: 기준 적용 · 산정 방식
보험 약관과 관련 지침에 따라 피해율을 산정합니다. 작물 특성과 재해 유형에 맞추어 표본 추출·비교 표본을 활용하며, 객관적 수치를 우선합니다.
- 작물별 표본 조사 기준과 오차 허용 범위 확인
- 생육 상태·수확 가능성 평가, 표준 수확량 대비 감소율 산출
- 사진·측정 결과와 기록 일지 상호검증
④ 보고서 작성: 근거 제시 · 누락 방지
보고서에는 조사 경위, 방법, 수치 산정 근거, 사진·좌표, 참고 자료 출처가 체계적으로 포함되어야 합니다. 누락된 항목이 없도록 체크리스트를 사용하면 오류를 줄일 수 있습니다.
자격 취득 절차가 필요하시면 손해평가사 자격 취득 절차 안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